농작물-가축 진료소가 원헬스를 발전시키는 방법

스냅샷 솔루션
가축 담당자가 농작물-가축 클리닉 세션에서 개에게 광견병 예방 접종을 하고 있습니다.
A. Ziryamunno

저소득 국가에서는 농부 자문 서비스가 부족하여 소규모 농부들이 제대로 된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CABI는 식물 클리닉과의 협력을 통해 식물 클리닉의 범위를 넓혀 농부들의 자문 수요를 더 잘 충족시킬 수 있는 '원헬스'의 잠재적 이점을 발견했습니다. 이러한 잠재력을 탐구하기 위해 2021년에 우간다의 6개 지역에 '농작물-가축 클리닉'이 설립되었습니다. 이러한 '공동 클리닉'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원헬스 서비스에 가치를 더합니다: 1) 농작물과 가축 담당 직원이 평소에는 할 수 없는 방식으로 운영 비용, 지식, 통찰력을 공유할 수 있고, 2) 같은 장소에서 농작물과 가축 상담을 진행함으로써 농부들의 시간을 절약하고 농부와 클리닉 직원 간의 교차 학습 기회를 제공하며, 3) 공동 클리닉은 의뢰 시스템을 개선하고 동물 백신, 카사바 절단 등 기술 전달을 목표로 하는 진입점이며, 4) 원헬스 문제에 대해 농부가 무엇을 알고, 모르는지 알아내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여 솔루션을 설계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 등입니다.

마지막 업데이트: 30 Sep 2025
1224 조회수
컨텍스트
해결 과제
불규칙한 강우량
온도 상승
침입 종
건강
식량 안보 부족
대중 및 의사 결정권자의 인식 부족
구현 규모
로컬
에코시스템
경작지
Orchard
목장 / 목초지
열대 초원, 사바나, 관목 지대
테마
침입 외래종
식량 안보
건강 및 인간 복지
지속 가능한 생계
현지 배우
원 헬스
농업
통합 서비스 제공
위치
우간다
동아프리카 및 남아프리카 공화국
영향

농부들은 농작물과 가축의 건강과 생산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 중 일부는 사람과 환경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는 상호 연관된 문제입니다. 농작물-가축 클리닉은 기존 서비스 제공에 가치를 더하여 기존 조직의 자원과 역량을 더 잘 활용하면서 보다 통합적인 방식으로 농부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첫 번째 파일럿 연도의 사례:

  • 일부 축산 담당자들은 광견병 백신을 클리닉 세션에 가져와 인근 지역의 개들에게 백신을 접종하는 행사를 활용했습니다.
  • 첫 해에는 약 800명의 클리닉 방문자 중 약 15%가 농작물과 동물에 대한 질문을 모두 제시했으며, 많은 사람들이 계속 남아서 동료 농부들의 상담을 듣고 배웠습니다.
  • 이후 클리닉 직원들은 농부들이 제기한 질문을 바탕으로 마을 백신 접종 캠페인(예: 뉴캣슬병)과 깨끗한 카사바 절단 배포를 조직했습니다.
  • 한 지역에서는 가축 실험실 기술자가 클리닉 세션에서 샘플(소변, 대변, 혈액)을 채취하여 실험실로 가져와 의뢰 절차를 개선했습니다. 작물-가축 클리닉은 곰팡이 독소, 동물원성 질병, 농약 및 동물용 의약품 오용과 같은 원헬스 문제를 공동으로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는 길을 제공합니다.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SDG 1 - 빈곤 퇴치
SDG 2 - 기아 제로
SDG 3 - 건강과 웰빙
SDG 5 - 양성 평등
SDG 12 - 책임감 있는 소비와 생산
SDG 15 - 육지에서의 삶
SDG 17 - 목표를 위한 파트너십
기여자와 연결하기
기타 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