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생 서식지 매핑을 위한 새로운 방법론과 GPS로 수집한 종 실험에서 서식지 활용도를 분석하는 도구

스냅샷 솔루션
세덤 캔들레이
ONCFS

2003년 이후 자연 서식지 지도가 변경되지 않은 상태에서, 2015년에 연구팀이 피레네 샤무아(Rupicapra rupicapra pyrenaica)와 카퍼캐일리(Tetrao urogallus aquitanicus)에 대한 서식지 활용을 구현하기 위해 향후 GPS 목걸이 사용을 발표하면서 평가 및 업데이트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었습니다.

2015년 말에 수행된 첫 번째 평가 작업은 표준화된 방법론을 실험하는 업데이트를 위해 마무리되었습니다.

2016년 봄과 여름 두 차례에 걸친 현장 조사를 통해 보호구역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나머지는 물리적 요인과 서식지 가치 간의 등가 관계를 통해 해석하여 지도를 완성했습니다.

2017년 여름에 처음으로 장비를 장착한 동물이 포획되어 방생됨에 따라 2017년 겨울에 지도와 데이터베이스가 가동되었습니다.

마지막 업데이트: 02 Aug 2019
3713 조회수
컨텍스트
해결 과제
토지 및 산림 황폐화
생물 다양성 손실
상충되는 용도/누적 영향
오염(부영양화 및 쓰레기 포함)
생태계 손실
열악한 거버넌스 및 참여
사회 갈등과 시민 불안
구현 규모
로컬
에코시스템
목장 / 목초지
온대 낙엽수림
온대 상록수림
수영장, 호수, 연못
강, 하천
습지(늪, 습지, 이탄 지대)
온대 초원, 사바나, 관목 지대
툰드라 또는 고산 초원
테마
서식지 파편화 및 성능 저하
종 관리
적응
복원
보호 및 보존 지역 관리 계획
과학 및 연구
표준/인증
위치
RNCFS 도를루, 아리에주, 프랑스
서유럽 및 남유럽
영향

새로운 자연 서식지 지도는 최소 네 가지 목표를 목표로 합니다:

  • 첫째, 멸종 위기에 처한 식물 종이나 식생 서식지 모니터링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합니다.
  • 정기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기후변화로 인한 식생의 변화와 숲과 초원에 대한 역동적인 영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축산 농가와 같은 지역 주체들이 초지 배치와 개간을 요청할 때, 이 지도는 적용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좋은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 마지막으로, 지도 데이터베이스는 보호지역에서 조사된 각 서식지 유형에 대한 지역화 데이터와 존재 범위를 비교하여 GPS-콜라 기반 연구에서 서식지 활용도를 분석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세 가지 수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다음과 같이 기여합니다:

  • 보호 지역 내 목축 프로젝트 및 작업의 지속가능성 향상
  • 상징적인 종의 서식지 활용도를 더 잘 이해하여 결과적으로 서식지 보호 조치를 개선합니다.
  • 관리 계획의 보전 목표를 식물과 동물의 이해관계 사이에서 균형 있게 유지합니다.

이 작업을 주도하는 방법론은 2018년 초에 평가가 완료되었으며, 보호지역 식생 매핑을 위해 국가 차원에서 제안된 도구 범위를 확장하여 연말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관련 결과: 난초 한 종의 재발견 (LAIGNEAU, F. & FAYET, B., 2018. 피레네 산맥에서 트룬스테네라 글로보사의 재발견)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SDG 13 - 기후 행동
SDG 15 - 육지에서의 삶
기여자와 연결하기
기타 기여자
프랑수아 프루돔, 프랑수아즈 라이노
피레네 및 미디 피레네 식물원 음악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