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생산 강화 및 다각화

코네굼메즈에서는 비옥한 땅을 구할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되어 있습니다. 농부들은 토마토, 당근, 양배추, 감자 등의 채소를 재배하고 있습니다. 거의 모든 가정이 사과, 살구, 호두, 아몬드 등의 과일나무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수확물은 가족 소비를 위해 우선 사용하고 남은 것은 겨울을 위해 저장합니다.

2014년에 지역 농부들은 프로젝트의 지원을 받아 첫 번째 온실(90m²)을 지었습니다. 이 온실 건설의 목적은 지역 농부들을 훈련시켜 기후 변화의 부정적인 영향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고, 마을의 지도자와 원로가 온실 관리 책임자로 임명되었습니다. 이듬해에는 농부들이 직접 세 개의 온실을 더 지었습니다.

33헥타르의 임대 농지에서 농부들은 과일나무와 채소를 재배하고 있습니다. 수확물의 절반 이상이 판매됩니다. 이 농지는 점적 관개 방식으로 관개되기 때문에 물 소비량이 매우 적습니다.

개별적으로 임대한 관개용 경작지에서 농부들은 정부의 명령에 따라 밀을 재배합니다. 이러한 농지에서 농업 수입은 강수량에 따라 달라지므로 해마다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지난 15년 동안 농부 가족들은 농업 생산을 크게 다각화하여 기후 변화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탄력성을 높였습니다.

온실에 대한 국제 개발 프로젝트의 초기 지원은 이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을 제공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온실의 관리와 가치 있는 증명, 그리고 다양하고 새로운 형태의 채소 생산은 농부들이 새로운 기술에 대한 신뢰를 얻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인근 시장에서 채소와 과일을 성공적으로 판매하는 것은 농부 가족에게 중요한 인센티브가 됩니다.

더 큰 규모(이 경우 마을 단위)에서 농업 생산을 다각화하려면 새로운 것을 시도하려는 사람들이 있어야 합니다. 코네굼메즈의 경우 원로이자 마을 지도자가 '혁신가' 역할을 했습니다. 이 사실은 두 가지 성공 요인을 결합했습니다: (1) 새로운 것을 시도하려는 의지와 (2) 이 사례의 리더처럼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더 높은 계층적 위치에서 '혁신가'로서의 역할을 하는 사람이 있다는 점입니다.

온실과 같이 비용 집약적인 혁신의 경우, 재원을 제공할 수 있는 주체(이 경우 국제 개발 프로젝트)가 실패 가능성과 관련된 위험을 감수하는 것도 중요해 보입니다. 이는 가난한 농부들이 혁신 기술에 참여하는 데 크게 기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