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사회 개발 프로젝트, 특히 환경과 관련된 프로젝트를 실행할 때는 환경을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참여가 필수적입니다. 참여적 접근 방식은 시민 단체와의 긴밀한 협력을 장려합니다. 효과적인 변화 관리자가 될 수 있는 구성원들의 역량에 중점을 두면 보다 기능적이고 성공적인 솔루션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참여형 대화, 기술 교육, NGO, 기업, 정부(지역 및 국가) 간의 파트너십 육성을 통해 각 주체가 단독으로 달성할 수 없는 솔루션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대화를 통해 필요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이니셔티브를 식별, 설계 및 실행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의 자원과 노력의 기여에서 알 수 있듯이, 커뮤니티의 주인의식은 지속 가능성과 수용성을 위한 핵심 척도입니다. 이 결과는 초기 역량 강화 및 커뮤니티 계획 세션의 연장선상에 있습니다. 또 다른 관련성이 높은 측면은 마을 기반의 시민 단체와 협동조합이 제공하는 조정 및 프로젝트 관리 지원입니다. 프로젝트 수명의 핵심은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동안 지역 및 기관의 지속적인 참여입니다.
환경과 관련된 사회의 우려를 무시하면 경제가 의존하는 천연 자원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공급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개발의 맥락에서 생태계 기반 접근법을 논의할 때는 사회적 차원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천연자원의 생산과 사용은 사회의 환경적 우선순위를 고려해야 할 뿐만 아니라 우리를 하나로 묶는 사회적 합의를 뒷받침하는 방식으로 조직되어야 합니다. 또한, 지역사회 대화를 촉진할 때는 공공, 민간, 시민단체를 모두 포함해야 하며, 이는 지속 가능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와 필수적인 기반을 제공합니다. 회복력 있는 프로그램과 환경에 필요한 포용적인 대화의 질을 조성함으로써 프로젝트는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