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전한 식수 공급원에 대한 접근성은 라모자나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인구의 42% 이상이 식수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기온 상승과 홍수와 같은 기상이변이 더 빈번하게 발생하면 더욱 악화될 것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물 접근 능력을 분류하여 개발한 지역 취약성 분석을 기반으로 다양한 물 솔루션에 투자했습니다. 이 솔루션에는 우기 동안 물을 모으기 위한 가정 및 지역사회의 빗물 집수 시스템과 기존 수자원 인프라 개선이 포함됩니다. 이를 위해 지역 마이크로 수로를 수리하고 여름철에도 견딜 수 있는 용량을 확보하고(태양열 패널을 사용하여 펌프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펌핑 시스템과 수조를 강화) 홍수 시 오염으로부터 수원을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했습니다.
솔루션에는 이러한 시스템의 운영 및 유지 관리 방법과 수질 모니터링에 대한 교육이 함께 제공됩니다. 지역 수자원위원회에 대한 교육도 실시하여 지역사회의 물 관리 역량을 강화합니다. 지역 책임자를 통해 지역 내 관련 지식이 유지되고 각 가정이 기후 변화가 지역 수원에 미칠 영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강화합니다.
이 지역의 수문학적 흐름 분석에서 얻은 지식은 기후 변화가 수자원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초기 이해를 제공했습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는 물 취약성과 필요를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서 개발한 취약성 분석은 전통적인 수자원 인프라에 대한 접근성을 기반으로 가정 수준에서 올바른 물 해결책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지역 지자체와의 파트너십은 물론 해당 지역에 기반을 둔 책임 있는 당사자들과의 협력도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취약성 분석의 결과는 프로젝트가 새로운 투자를 식별하고 극한 기후 조건에서 잘 작동하는 데 필요한 추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해주었기 때문에 물 솔루션을 할당하는 데 핵심적인 정보가 되었습니다. 또한 취약성 분석을 통해 프로젝트는 코로나 관련 중단과 같은 변화하는 지역 상황에 적응할 수 있었습니다. 그 결과 위생 프로토콜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물 접근성을 제공함으로써 코로나19에 대한 현지의 회복력을 높이는 데 영향을 미쳤습니다.
지방 자치 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프로젝트가 지역 차원에서 조정될 수 있었으며, 경우에 따라 공동 자금 배분이 증가했습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는 지자체 투자에 기후 고려 사항을 통합함으로써 변화의 이론을 선제적으로 다룰 수 있었습니다. 주요 과제는 수자원 인프라 및 운송에 투입되는 비용의 가격에 영향을 미친 코로나19의 영향을 관리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해당 지역의 책임 있는 당사자들에게 더 많은 역량 강화 지원과 솔루션의 전반적인 사회화를 제공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