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그룹을 변화의 주체로 자리매김하기

프로젝트에서 성 평등에 초점을 맞추면서 여성의 인식과 우려를 고려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습니다. 여성 전용 워크숍에서는 가정 폭력, 범죄, 약물 중독 등 여성들의 사회적 취약성을 인식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워크숍을 통해 여성들은 가족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프로젝트 활동에 참여하고 싶다는 의사를 분명히 밝혔습니다. 그 결과 이들의 참여는 다양했습니다. 예를 들어, 식수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해 라스 칼라다스 지역사회의 여성 그룹은 빗물 포집 시스템과 정수 장비 운영에 필요한 기술에 대한 역량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또한, 여성들은 사회적 기업 '사랑의 물방울'을 설립하여 초등학교와 보육원에 식수를 공급하고 남은 물은 지역사회의 가정에 판매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 다른 예로, 엘밍고 지역사회의 여성들이 건축과 친환경 기술에 대한 역량을 갖추게 된 후 '엘밍고의 바람'이라는 그룹을 결성하여 재난 발생 시 지역사회의 80개 가정에 속한 물품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팔라피토 건설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프로젝트 초기부터 지역 여성의 요구, 취약성 및 역량을 파악하여 적응 대책 설계에 잘 통합 할 수 있습니다.
  • 적응 조치에 대한 성찰을 위한 워크숍을 통해 여성들이 프로젝트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도록 장려했습니다.
  • 지역 사회 여성들의 자부심과 기업가 정신의 성장
  • 경험이 풍부한 현지 NGO의 헌신적이고 일관된 지원
  • 역량과 적응력을 갖춘 여성은 가족 생활 개선을 지원하는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열정, 동기 부여, 추진력의 원천입니다;
  • 여성의 역량 강화는 워크숍 참여만으로 이루어질 수 없으며, 중장기적으로 현지 퍼실리테이터의 지속적인 멘토링이 프로젝트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 프로젝트에 참여한 여성들은 프로젝트 외의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 남성과 여성이 수행하는 활동 사이에 깊은 격차가 있는 지역사회에서 성평등을 여성 프로젝트 식별의 문제로만 취급하면 지역사회의 생계와 관련된 중요한 생산적 문제를 대책에서 놓칠 수 있는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남성과 여성의 관점에서 적응 조치를 고려하는 지역사회 적응 계획에 대한 성인지적 접근은 적응을 통해 여성과 남성의 활동이 모두 지원되도록 하는 효과적인 접근 방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