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보호지역 데이터베이스(KDPA)에서 보호지역에 대한 국가 데이터 관리
스냅샷 솔루션

대한민국 내 보호 지역
KNPS
CBD 생물다양성 전략 계획 2011-2020은 아이치 목표 11을 포함하여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보호지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세계 보호지역 데이터베이스(WDPA)는 국가 차원에서 목표 11의 진행 상황을 추적하는 데 사용됩니다. 대한민국에서는 15개 법률에 따라 5개 부처에서 보호지역을 지정하고 보호지역 데이터와 정보를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있어 WDPA의 대표성 확보가 늦어지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보호지역 데이터베이스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한국 보호지역 데이터베이스(KDPA)를 구축했습니다. KDPA를 통해 보호지역에 대한 통계 분석은 물론 보호지역 범위, 지정연도, 보호지역 유형, 거버넌스 유형, IUCN 보호지역 관리 카테고리 등 국내 보호지역의 기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KDPA는 http://www.kdpa.kr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업데이트: 23 Jul 2019
3482 조회수
영향
KDPA가 구축됨에 따라 이제 국내에서도 보호지역에 대한 데이터를 통합적이고 표준화된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보호지역 정책 개발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SDG 14 - 물속에서의 삶
SDG 15 - 육지에서의 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