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곳의 개입 지역에서 맹그로브 복원 기회 확인

기니비사우의 카슈, 퀴나라, 톰발리 세 지역에서 참여형 복원 기회 평가 방법론(ROAM)을 통해 TRI는 10개 지역(카슈 5개, 퀴나라 2개, 톰발리 3개)에서 맹그로브 복원 기회를 파악하고 프로젝트 시행 기간 동안 복원할 1200ha의 맹그로브 경관을 확정할 수 있었습니다.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진행된 ROAM 프로세스에는 맹그로브 복원을 위한 주요 경쟁 우선순위 중 하나인 벼농사와 관련하여 마을의 우선순위가 무엇인지에 대해 지역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논의하는 과정이 포함되었습니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해 개입 구역을 정의하고 맹그로브와 논 복원을 시작하는 데도 도움이 되었습니다. ROAM 평가의 시행은 궁극적으로 맹그로브 경관과 관련된 행위자들과 이해관계자들이 단일 부지에서 벗어나 경관 전체를 고려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국가 맹그로브법 및 국가 맹그로브 전략과 같은 프로젝트의 정책 도구 개발에 기여했습니다. 마을의 우선순위와 법에서 완충지대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커뮤니티의 의견을 제공함으로써 지역화된 정보는 국가 정책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었습니다.

ROAM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TRI는 2019년 11월에 기술자들에게 참여형 지역 진단 도구에 대한 이론 교육을 실시했습니다. 평가를 수행하는 사람들에게 프로세스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TRI는 평가를 통해 복원 기회와 마을 우선순위를 적절히 파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ROAM 평가는 세 경관에 어떤 복원 기회가 있는지, 다양한 마을의 우선 순위가 무엇인지 등 귀중한 교훈을 제공했습니다. 참여형 진단은 또한 국가 맹그로브 법과 국가 맹그로브 전략에서 어떤 완충지대를 설계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습니다. 쌀 생산에는 맹그로브가 사용되기 때문에 쌀 생산과 복원에 대한 협상을 위한 완충 구역과 프로세스는 맹그로브 정책의 지속 가능한 실행을 위해 필요합니다. 또한 ROAM 프로세스는 맹그로브 복원과 논 복원에 경관적 접근법을 적용하고 국가 차원에서 전반적인 복원 전략을 정의할 수 있게 했습니다. 궁극적으로 ROAM 도구의 구현을 통해 맹그로브 복원의 주체와 이해관계자들은 단일 부지에서 벗어나 전체 경관을 고려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