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개입 후 7년이 지난 후, 여성 단체와 협동조합, 의사 결정 과정과 생산 과정, 토지 관리, 숲 보호 및 생물 다양성 분야에서 여성 참여자의 수가 변화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여성 협동조합의 경우, 여성들의 개인적 역량과 생산성이 프로젝트 참여와 함께 증가했으며, 여성들의 권리 증진을 위한 경제적 역량도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대응적인 농업의 실천은 또한 농업 생산 과정에서 습득한 지식을 실제로 적용하고, 품목을 다양화하며, 제품의 상업화 및 혁신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식량 안보에 영향을 미치고 성별 격차를 줄이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생산적인 프로세스, 친숙한 경제성, 더 나은 재료, 상업화, 의사 결정 능력에 대한 여성들의 참여와 혜택을 창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