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수집

이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에서 여러 유형의 데이터가 수집되었습니다. 호라이즌 스캐닝 단계에서는 소셜 미디어 트렌드 데이터와 함께 SDG를 프레임워크로 사용한 사회-경제-환경 2차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이 단계는 대부분 SDG Move에서 수행했습니다. 이 데이터를 가공하여 도전적인 사회, 경제, 환경 이슈를 선정하고 각각 1페이지 분량의 보고서로 만들었습니다. 각 지역에서는 1페이지 보고서의 맥락을 파악하고 지역별 이슈를 선택하거나 추가했습니다. 델파이 방식 단계(지역 단위)에서는 전문가 의견(1차로 1페이지 보고서에 대한 평가 및 코멘트, 2차로 도전 과제에 대한 우선순위 선정)을 수렴하여 지역별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그런 다음 우선순위는 지역 포사이트 워크숍에서 활용되었으며, 백캐스팅 방법을 사용하여 지역 우선순위와 관련된 지역의 열망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적 방향을 도출하기 위한 다중 이해관계자 협의를 진행했습니다. 모든 지역 프로세스의 결과를 종합했습니다. 10,000개 이상의 연구 프로젝트 목록을 SDG와 종합된 지역별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연구 격차를 파악했습니다.

지역 팀의 전문성 덕분에 어려운 이슈의 맥락화를 적은 노력으로 가능하게 했습니다. 지역 내 여러 분야의 이해관계자들과 개인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이들의 사회적 자본은 기존 운동에 참여하고 경험이 있는 이해관계자들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었고, 이를 통해 도전적인 이슈에 대한 근거 있는 최신 관점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잘 계획된 데이터 수집 프로세스와 SDG Move와 지역 팀 간의 정기적이고 공개적인 협의 또한 적시에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매우 중요했습니다.

학계 및 시민사회단체 전문가들은 데이터 격차를 메울 수 있는 두 번째 기반입니다. 복잡한 통계적 방법이 아니라 어려운 문제의 상황을 이해하는 데 데이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따라서 정량적 데이터는 퍼즐의 한 조각에 불과합니다.

각 지역 팀의 명확한 목표, 타임라인, 결과물은 계획 수립에 도움이 됩니다. 타임라인은 지연과 예상치 못한 지역적 또는 국지적 제한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프로젝트 상태와 장애물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체크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애물은 일찍 발견할수록 좋습니다.

SDG Move의 계획은 완벽하지 않고 지역적, 문화적 맥락에 맞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조정팀으로서 열린 마음으로 지역 팀의 목소리와 우려에 귀를 기울여야 합니다. 또한 지역 팀의 사기를 관찰하고 필요할 때는 사기를 북돋아 주어야 합니다. 프로젝트 진행 상황과 전망, 그리고 TSRI 사무소의 칭찬은 사기를 북돋우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